요새 더블 클러치를 배우고 숙련을 하고 있는 스포티지R 스틱차량 운전자 입니다.

 

ㅋㅋ 예전에나 쓰던 더블 클러치를 지금와서 배워서 사용하고 있는데 정말 재미가 있네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빠워와 엔진 브레이크를 위한 다운 쉬프트를 이용할 시 부드럽게 들어가는 것 하며..

 

하지만 이게 정말 차에 무리가 가지 않을까 생각을 안 할 수가 없네요..

 

고수님들 질 문

 

1. 다운 쉬프트를 이용하여 엔진브레이크를 걸때 (예 3단에서 2단으로) 반클러치를 이용한 엔진브레이크와

    더블 클러치를 이용한 엔진브레이크 어느게 좋을까요??

 

→ 여기서 반클러치라 함은 급하게 발을 띄었을때 울컥하는 현상을 없애기 위해 클러치를 반만 띄어서 RPM을 맞추는것임 ㅎ

 

2. 과속을 위한 (추월 및 오르막) 다운 쉬프트시 더블 클러치를 이용하잖아요. 여기서 중립상태에서 RPM을 맞추기 위해

    엑섹을 밟은 후 기어 넣고 다시 엑셀을 밟을때 무리는 없는지??

 

3. 엔진브레이크를 자주 이용하여 클러치(삼발이) 수리비 AND 브레이크 패드 마모에 의한 수리비 어느게 좋을까요??

 

하여튼 운전은 스틱이 최고 인거 같습니다. 단!! 저는 시내주행은 거의 없으며, 차가 막히지 않아서 겠지요????? ㅋㅋ

 

다른 스틱 운전분들도 원클러치 (저는 사용않함, 엔진 소리가 별로라) 더블 클러치 (초 강추)를 이용하여, 안전 운전합시다.!!

 

하여튼 안전을 다운 쉬프트(엔진 브레이크)

추천 0 0 비추천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서경]뭐야너는 2011.09.16. 18:40
(1번) 반클러치를 이용한 쉬프트 다운 상황이라면...아무래도 순간 고알피엠이 튀기는 상황에서
슬립발생이 될것이기에...차라리 더블 클러치 사용이 나으리라 봅니다...

(2번) 제가 질문의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데요...;;
통상적인 변속상황에서 엑셀을 밟을때 문제될것이야 없겠지만...
굉음을 유발시킬 정도의 과도한 악셀링은 아무래도 엔진에 피로가 누적될듯 싶습니다...

(3번) 뭐...당연 디스크 삼발이 수리가 몇배더 많이 듭니다...;;
미션을 내려야 가능한 작업이니까요...

===========================

이상, 허접답변이었네요...
Profile image [서경]RIO 2011.09.16. 18:52
저도 다른차는 수동입니다만 짧은지식으로 올립니다.

1. 반클러치보다 더블클러치가 좋은거 같습니다. (반클러치 자주하면 삼발이에 안좋을겁니다.)

더블클러치는 감속을 위한거로 알고 있고요. 처음 사용 시 변속 충격이 있을겁니다.

하지만 익숙해지면 변속충격없이 사용 할 수 있습니다.

2.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요새 수동기어도 예전보다 기술이 발던해서 무리는 없는걸로 압니다.

해외수출용은 수동도 많이해서 기술적으로 문제없을 겁니다.

글 쓰고 보니 글 살짝 바뀌어졌네요. 말씀하신 상태라면 차가 울컥할겁니다. 안좋을거 같구요,

rpm을 일일히 맞추시는거 보다. 자연스럽게 나가시면 되는데요, 아 설명이..

수동하시다보면 오른발에서 신호가 왼발로 변속시점 갑니다. -_-


3. 삼발이 비용이 더 들어가는걸 알고 있습니다. 삼발이는 수동차량 10만정도 (타이밍벨트교환) 시

점검정도....

혹 삼발이 나가서 교환하는분 자주봤는데 대부분 차기 차 아니라고 막쓴 분이더군요.

수동변속 잘 못하시는분들도,,,,

제차 수동 지금 12년차 들어가지만 삼발이 교환한적 없습니다.

몽삵님 수동 적절한 변속과 환경에 맞게하시면 걱정 안하셔도 될 겁니다.

이상 짧은 지식으로 허접한 답변드립니다.
lovebite 2011.09.17. 01:06
그놈이 그놈입니다. 방법만 다를뿐이져...부드럽게 들어가느냐 튕기듯이 들어가느냐 뭐 그렇긴 하지만 더블도 부드럽게 들어갈수 있습니다.
더블클러치 쓴다고 반클러치 안들어가는거 아니죠. 지연만 될뿐이지 똑같습니다.
원래 더블클러치는 미션이 큰 보통 버스나 트럭에서 많이 쓰는데 기어가 제위치에 잘들어가지 않아 한템포 준비하려고 씁니다.
군대에서 운전 배운 사람들은 둘다 그때그때 다르게 사용합니다. 차량의 상태, 도로환경 등등 그래서 그닥 반클러치인지 더블클러치인지 모르고 그냥 감으로 씁니다.
반클러치나 더블클러치는 필요할때 쓰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안좋은 방법은 기어변속후 클러치를 살짝 밟고 있는 것이 가장 안좋습니다.
그렇다고 쉽게 클러치 삼발이 디스크 나가지 않습니다. 정말 막굴리는 분 빼고는...
수동의 재미는 역시 엔진브레이크와 변속타이밍이라 생각하는 1인입니다.

아참 1번의 답은 엔진브레이크 사용방법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라 어느것이 옳다라고 말씀드리기 어려운데 쉽게 생각하시면 더블은 긴박한상황에서 절대사용하지 못합니다.그러다 사고납니다.
[충청]빈티 2011.09.17. 13:35
저도 스알 이전에 탔던 차가 수동이었던지라 더블 클러치와 힐앤토에 관심을 갖고
그당시 적을 두었던 동호회에 질문을 올렸던 적이 있었습니다 (현다이의 무늬만 스포츠카였던
녀석을 몰고다닌지라, 고수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ㅎㅎ)

그당시 결론은, 더블 클러치는 70~80년대 이전 차량들의 미션이 부드럽지 않아(특히 대형트럭
및 버스들) 기어 변속시 알피엠이 바닥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쓰여진 기술이며(러브바이트
님 말씀과 동일합니다) 요즘은 미션이 좋아져서 사용하지 않는 기술이다 였습니다.
즉, 더블 클러치는 레이싱용 기술이 아니라는 말이지요.

하지만 여기서 의견이 좀 나뉘는것이, 몽삵님 말씀처럼 엔진 브레이크시 울컥거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엔진에 무리를 덜 주기 위해서 더블 클러치를 사용하므로 이는 곧 레이싱 기술이 아니냐 하는 의견도 많았으나, 이는 결과론적인 견해일 뿐이며, 실제 엔진 브레이크라 함은 풋 브레이크 의한 제동력에 좀더 힘을 주기 위해서 쓰이는 것이지, 순수한 제동을 위해서 엔진 브레이크만 사용하는것은 잘못된 운전 습관이다 라는 것입니다.
실제 레이싱에서 쓰이는 기술은 대부분 힐앤토와 왼발 브레이크 라고 하더군요.

끝으로, 더블은 긴박한상황에서 절대사용하지 못합니다.그러다 사고납니다 라는 러브바이트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울산]에리 2011.09.17. 17:03
저도 운전을 좀 급하게 하는 편인데 더블클러치는 쓰지 않습니다.
스포티지R의 싱크로나이저가 더블클러치를 써야 할 정도의 제품은 아니더군요.
하지만 이전 차량 소유시 과격한 변속과 엔진브레이크로 인하여 미션 5번, 엔진 한번 블로우 시켜본 경험이 있어
최대한 미션에 부담을 덜주는 운전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논클러칭시프트라는 방법과 비슷하지만 클러치는 사용하는 방식이지요.
논클러칭하고 싶긴 한데 레이싱용차량이 아닌지라 싱크로나이저 갈려나갈까봐 차마 못하고 있고
대신에 다운시프트시 클러치를 밟으면서 엑셀을 한번 퉁~ 하는 느낌으로 50~70% 깊이로 쳐줍니다.
그러면 순간적으로 RPM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클러치를 물리면 급하게 물려도
엔진 및 미션에 충격없이 원래 그 단에 있었던것처럼자연스럽게 물립니다.
물론 몸의 쏠림현상도 없구요.

느낌상으론 엔진브레이크 사용이 미션에 걸리는 부하보다 엔진이 걸리는 부하량이 큰듯 했습니다.
스포티지R의 플라이휠은 듀얼매스타입이기때문에 미션과 엔진에 걸릴 순간부하를 상당량 줄여주기도 하구요.
가장 적정한 속도,기어대비 RPM포인트는 자주 연습하셔서 몸으로 체득하시는것이 빠를듯 합니다.
더블클러치시프트는 스포티지R에서 사용해본바 왜 써야 하나 싶을정도로 효용성이 없다고 느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네티러브입니다. 스포티지R 페이스리프트 모델 출시에 ... [16] file nattylove 13.07.05. 125319
공지 [제안]스포티지알넷. 좋죠? 그럼 함께 즐겨봐요~!! [54] [47] file nattylove 10.04.30. 187643
공지 [알림] 스포티지알넷의 소개와 운영방침. [47] [169] file nattylove 10.02.17. 249419
21916 [블박영상] 비사이로막가... [6] [전]Gost_SR[광.. 11.09.16. 1859
» 더블 클러치 완벽 숙지한분들 좀 가르쳐 주십쇼~!!!! [9] [경]몽삵[남] 11.09.16. 4890
21914 개만족... [3] [서경]현지아.. 11.09.16. 1762
21913 정말 급합니다!!! [6] [男]보득솔[GhO.. 11.09.16. 1850
21912 할일없어 몆자적어요 혹시 하체보강언더키트주문하신 회원님들 댓글좀 ㅎㅎ [3] 검정스알 11.09.16. 1864
21911 [회원님들]....................보고있나??응? [8] [충]진선아빠[.. 11.09.16. 1615
21910 복귀신고! [11] 앙팡테라블 11.09.16. 1619
21909 택배문자가 왔네요.... [5] file [서경]현지아.. 11.09.16. 1930
21908 아니? 이분은..... [9] file 고인돌 11.09.16. 1566
21907 [특급속보] 신고글이 하나 생겼습니다. [12] file [충]진선아빠[.. 11.09.16. 2151
21906 오류는 아닌것 같고.. 댓글 번호... [3] file [서경]현지아.. 11.09.16. 1460
21905 현지아빠님 봐주세요~ [13] file 바다마루 11.09.16. 1595
21904 유나님... 보고있나..응? [7] [충]진선아빠[.. 11.09.16. 1776
21903 이직하려고 지원하려다 포기했습니다... [5] file [서경]현지아.. 11.09.16. 1579
21902 [1위] 2011년 대한민국 창의력 대상 1위랍니다. [4] 11 file [충]진선아빠[.. 11.09.16. 2535
21901 서명 변경 완료! [4] [충]진선아빠[.. 11.09.16. 1512
21900 [리뉴얼이벤트당첨후기] 듀라클린 발수코팅제 사용후기~ [4] file [강원]미남안.. 11.09.16. 1741
21899 친절한 진선, 지우 아부지...... [5] file 고인돌 11.09.16. 1588
21898 저도 가 봤어요..... [4] file 고인돌 11.09.16. 1532
21897 [알림] 회원 서명 작성 가능합니다. [7] nattylove 11.09.16. 1624
21896 등업을 기다리는 분이 계십니다.ㅜㅜ [3] 1 file [충]진선아빠[.. 11.09.16. 1415
21895 [속보] 도대체 이분들은... 누굴까요ㅎㅎ [4] 1 file [충]진선아빠[.. 11.09.16. 1781
21894 [인터니즈님] 게시판 오류 관련입니다. [4] 2 [충]진선아빠[.. 11.09.16. 1594
21893 게시판 오류 발견했어요 [2] 3 [울산]에리 11.09.16. 1554
21892 ▶▶2011년 9월 16일 금요일 함께 즐기는 스알넷 출석부◀◀ [9] 1 고인돌 11.09.16. 1714
21891 오늘도 출장 야근 [4] file in╂∑rNⓔⓔDs 11.09.15. 1669
21890 [영화]파워레인져 정글포스 시청중ㅠ [12] 9 [충]진선아빠[.. 11.09.15. 1981
21889 일단 얼굴부터~~ㅋ [5] 1 file [서경] 유나 11.09.15. 1800
21888 1초 피식!ㅎ(2) [6] 1 file [서경] 유나 11.09.15. 2525
21887 1초 피식!ㅎ [11] file [서경] 유나 11.09.15. 2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