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bs3.agora.media.daum.net/gaia/do/story/read?bbsId=S103&articleId=107942
 

 

다음 아고라에서 퍼온내용입니다. 저는 스포넷에서 퍼왔습니다.

디젤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전에 제가 윤발이님께도 어느정도 말씀드렸는데 이분께서 확실하게

말씀을 해주시네요, 물론 전적으로 맞는 말일수도 있고 틀린부분도 있지만

참고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시간나시는 분들은 보시고 링크가셔서 한번 보셔도 좋은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본문(낡은 자동차님 글)**
최근 디젤차량의 주행중 시동 꺼짐이나
엔진 점검등 점등을 이유로 정비업체를 찾으시는 분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특히 현대의 2.5톤 트럭을 하시는 분은 아예 연료필터를 사가지고 다니다가
시동꺼지면 바로 깔아 끼웁니다. (제가 연장도 빌려 드렸음)

하루에 두번도 갈아 보았답니다.
전 개인정비업체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아주 위험한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아마 죽이 겠다고 덤비는 댓글도 나올텐데......
일단 디젤을 먼저 이해 해야 겠죠.

경유차량은 경유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엔진이 가동 됩니다.
그래서 고압펌프가 있습니다. 그 펌프는 엔진 속도의 1/2의 속도로 회전하며
연료를 가압 분사하게 해줍니다.

커먼레일은 좀 다르지만 원리는 그게 그거 입니다.
그 엔진의 1/2의 속도로 돌아가는 펌프에 뭔가 윤활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 윤활작용을 경유가 해줍니다.

그런데 여름이면 경유의 점도가 낮아져서 운활이 원활치 못할수 있지요.
왁스의 주성분 파라핀이 들어 갑서 적당한 점도를 유지해 줍니다.

그래서 경유차에 석유 부으시는 분들이 오토바이 오일을 섞어 주는 것입니다.
석유는 점도가 낮아 분사펌프가 고장나거든요.

그런데 겨울이 되면 그 파라핀이 굳어 버립니다.
필터라는 것이 작은 구멍으로 연료를 통과시키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인데
그 구멍을 파라핀이 막아 버립니다.

그러면 연료가 원활히 공급이 안되어 차가 좀 안나갑니다.
그래도 계속 달리면 필터에 부압이 걸리며 일부 파라핀은 억지로 통과 되겠지만
막히지 않은 구멍만으로 연료가 가다보니 구멍들은 점점 더 파라핀으로 막혀 버립니다.

연료공급이 중단되고 시동이 꺼지게 되죠.
그래서 필터 윗부분에 열선을 내장시킨 차량이 많죠.
파리핀을 녹여 보겠다고......

그래도 낮은 기온에 통과되는 연료량이 많으면 그나마 감당 못하고
막혀 버립니다.

대부분 고속도로등에서 시동이 꺼졌을 겁니다.
연료의 유량이 많을 때죠.

그렇다면 저속 주행시에는?
엔진에서 사용되고 남은 연료는 연료통으로 되돌아 갑니다.
(최근 휘발류 차량은 되돌리지 않습니다.)

엔진옆의 분사펌프를 거쳐 어느정도 따뜻해진 연료가 연료통으로 되돌아가
연료통의 파리핀을 어느 정도 녹여 줍니다.

저속주행시에는 연료의 유량이 많지 않다보니
이 정도로도 유지가 가능하지만
고속 주행시에는 유량도 많고 리턴량은 적고
달리는 바람에 연료통 냉각은 잘되니
당연히 문제가 더 잘생깁니다.

간단하죠? 연료필터 갈고도 같은 증상이면 연료가 문제입니다.
(뭐 이제 주유소 분들이 헛소리네 죽이네 하시겠지만......)
 

이 연료가 불법이냐? 불량이냐? 그걸 따진다면 당연히 아닙니다.
맛없는 음식을 팔았다고 불만을 제기할수는 있어도 그게 불법은 아니거든요.
정상적인 연료입니다. 단지 계절에 맞지 않을 뿐이죠.

이제 본격적으로 욕먹을 짓을 시작해 보죠.
 

주유소의 입장을 생각해 봅시다.
겨울이 되면 있는 경유 다 빼버리고 겨율용으로 채우면 되겠지만
과연 그렇게 했을까의 의문이 남습니다.

그냥 남은 기름에 겨울용 채워가며 파시는 것은 아닌지......
 

개인적인 견해 입니다.
그런 문제가 있을때마다 손님에게 물어 봅니다.

주유소 어디 쓰시느냐고.
나름 통계도 내 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단 한군데만 통계에 들어가지 않더군요.

지금껏 10년 조금 넘게 정비 하면서 그 메이커에서 기름넣고
연료문제 일으킨 차량은 없었습니다.

단 통계는 개인적으로 낸것이라 연료가 반이상 있는 상태로 주유를 했다거나
하는 경우는 거의 제외하고 거의 다쓰고 가득 채운 경우만 통계를 낸것입니다.

이제 욕먹을것 한번 더 질러 봅니다.
경유는 나름 경유, 저 유황 경유, 초 저유황 경우로 구분됩니다.
갖은 환경 규제로 배기가스 후 처리장치가 달린 차종이 있습니다.
엔진오일조차 전용오일을 써야 할 만큼 관리가 필요한 차량입니다.

이 차량의 경우 초 저유황 경유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런저런 복잡한 문제로 차량은 그러할 진대 일반적인 주유소에서는
저유황 경유를 판매 합니다.

그게 당시에 좀 문제가 있었죠.
그리하야 일부주유소는 초 저유황 경유를
대부분은 저유황 경유를 판매합니다.

이제 문제를 들여다 봅니다.
배기가스 후 처리 장치가 달린 차량은 그 장치에 항 성분이 누적 됩니다.
일정량이 넘어가면 자동으로 연소 시킵니다. 그래서 달리다가 흰연기가
좀 나오기도 하죠. 그러다가 누적된 황이 연소시키는 양보다 많거나
할 경우 흰연기가 심하게 나옵니다.

그렇지 않아도 황이 너무 자주 누적되면 흰연기는
좀 심하게 나오게 되죠.

아마도 저유황 경유가 아닌 일반 경유가 들어 간 경우
문제가 될 확률이 높죠.

당시 전국에 11대가 문제를 일으켰는데 그 중에 5대가 같은 주유소를 사용했습니다.
이 메이커의 경우 역시 위의 통계에서 트러블로 1위를 차지한 메이커죠.

불량 경유가 아닌 일반 경유나 고유황 경유가 의심되는 곳입니다.
마지막으로 커먼레일 차량의 문제입니다.

이 차량의 경우 물이 유입되면 수리비가 몇백이 나오죠.
그럼 물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요?

대부분 그런 차량의 연료통에는 물과 녹이 공존합니다.
그런데 그 차량의 연료라인은 녹이 전혀 없습니다.

그럼 물은 연료통의 이슬맺힘을 이야기 할수 있겠죠.
그런데 주행거리가 1만킬로 이하의 차량은 물이 생겨야 얼마나 생길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게다가 다른 이유로 연료통을 내리는 차량의 경우 20만이 넘도록 물 한방울 없는 차도 있습니다.

과연 그 물과 녹이 어디서 나온걸까요?

주유소에 물어 보면 절대 그럴일 없다고 합니다.
모든이의 이야기를 결론지으면 차주가 일부러 부은거라는 결론이 나오죠.
주유소의 저장 탱크는 법적으로 일정한 기간마다 청소를 해야 합니다.

당연히 물과 녹이 제거되죠.
그런데 주유 후 한시간 이내 차가 고장나고
연료통에 물과 녹이 들어간 차량은 뭐라 설명해야 합니까?

차주가 몇백 날릴려고 장난치는 건가요?
제가 고객에게 권장하는 주유메이커가 있습니다.

휴지도 잘 안주고 가격도 비쌉니다.
그래도 권합니다. 겨울철만이라도 그 주유소를 쓰시라고......

개인적으로 주유소를 까고싶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원인과 결과가 있는데
헛소리네 어쩌네 하는 것은 좀 아닌듯 하여 글을 올려 봅니다.

특히 겨울철 시동꺼짐으로 고생하시는 화물차 기사님들
주유하실때 생수병으로 조금만 샘플을 받아 두세요.

그리고 아침에 확인해 보세요. 삼겹살 구운 기름처럼 하얗게 굳어 있지는 않은지......

가장 상태 좋은 주유소에서 기름 넣으시면
휠터 갈아끼워대는 불편은 조금 줄어 드실 겁니다.

연료가 문제라고 헛소리 하는 정비공이 있다고 하신 주유소 관계자분께 한마디 올립니다.

제 기분이 조금만 더 상했다면 아마 모든것을 까댔을 겁니다.
그건 주유소 관계자 분도 원치는 않으실겁니다.

행여 눈가리고 아웅식의 해명을 하시려 한다면 실시간으로 까 드리겠습니다

 

 

※저는 회사에 주유소가 있어서 어느정도 알고 있었지만 이게그렇게 심한 문제인줄은 몰랐네요.

근데 뎃글중에 먼가 이상한게 있습니다.

 

기자인지 담당자인지 제목을 바꿔놨다고 하네요ㅎ 왜그랬을까?..


추천 0 0 비추천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Profile image

[충]진선아빠

(level 10)
52%

♣스포티지알넷에 오신걸 진선아빠가 환영합니다.♣

♣숫자 8번을 누르면 신기한 일이 벌어진답니다.^^♣

 

Profile image [충]진선아빠 2011.01.16. 11:21
내용이 많아서 그냥 내리셨습니까?
참고하시면 살이되고 지식이 되는 내용이 많이 있습니다.^^
Profile image 대로 2011.01.16. 11:23
저 그냥 쭉쭉 내렸어요. ㅋㅋ
이따 시간 날때 읽을려고요. ㅎㅎㅎ
[전]물지[여수] 2011.01.16. 11:32
다읽었는데. 아고... 저런거까징. 알아야하다닝...ㅠ.ㅠ
[충]불멸의 이순신 2011.01.16. 11:37
기름값은 비싸면서 품질 좋지 않은 기름 넣는 주유소는 다 부숴줘야 합니다.ㅋㅋㅋ
[전]윤발이[광주] 2011.01.16. 11:51
디젤은 ~연료 특성상~자연 생성수(여기서 말하는 이슬맺힘) 가 생긴다고 합니다~~
차량에서는 ~바로 사용 하니까 생성수가 거의 생길 틈이없죠~~~그러나 오래도록 세워둔다면 ~
문제가 다릅니다~~
그러고~디젤 차량인 경우는~가급적 만땅 넣고~1칸 정도 남을때 연료 보충하면~조금이래두~
물이 엔진에 혼입이되는것을 어느정도 막을수 있겠죠~!!
주유소가 문제인 겁니다~~~주유소에서 오래 저장 하다보면 ~자연 생성수가 생기죠~~
커먼 레일에는 ~물이 혼입되면 ~어장 나는거죠~~~
물로 연료 필터( 쎄퍼레이터) 에서 걸러 주긴 합니다만 과량일 경우 바로 엔진으로 들어 가는거죠~~
요즘 정유 공장에는 디젤을 정제하여 탈유황을 합니다~~그런 공정이 따루 있구요~~
탈유황(여기서 말하는 ~초저유황이나 저유황)을 않하게 되면 매연이 더 많이 나옵니다~~
좌우간 ~주유소~ 잘 선택해서 연료 주입해야됩니다~~~
어떻게 선택 하는지는 ~디젤 charging후 엔진 상태나 연비등 ~또한 매연등을 잘 관찰 하시면 답이 나옵니다~
또한 안전을 지켜 주니까요~~~
진선 아빠님 유용한글 잘 읽었씁니다~~~~~
Profile image 고인돌 2011.01.16. 12:09
진선 아빠님 유용한글 잘 읽었습니다...
어떤 주유소를 이용해야되는지 말씀해주시면 .....
[서경]줴줴줴 2011.01.16. 12:11
댓글들 쭈~욱 읽어보니 "좋은기름이니까~ 에스오일"이네요.
Profile image [충]진선아빠 2011.01.16. 12:14
기름은 줴줴줴님께서도 말씀해주셨네요^^
근데 원유는 수입해오는걸로 알고있지만, 탱크를 별도로 하는지 그런거 까지는 저도 자세히는 모릅니다.

좋은 기름도 좋지만, 브랜드를 떠나 믿을 수 있는 주유소가 좋을듯 합니다.
근데 그게 어디냐가 문제지만..

저는 겨울철에는 회사에서 넣습니다.
왜냐면 가격은 시중보다 비쌉니다. 하지만 유통과정을 알기때문에 최소한 정품인것을 보장하니까요^^
[충]불멸의 이순신 2011.01.16. 12:54
좋은 정보네요 ..대충 알고 있던 것을 좀더 자세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좋습니다.휘발유 값이 싸기만 하다면

휘발유 차 사라고 동생한테도 권해줄텐데 말이죠~ㅡㅡ;
crier 2011.01.16. 14:33
대형화물차 운전하는분들은, 같은 양 채웠을때 어느정도 달릴 수 있는지만 봐도
그 주유소 기름이 좋은지 않좋은지 대충 알 수 있다고 하네요
수백리터씩 채우다보니, 확 차이난다고합니다.
Profile image [대구]숲을 가진자 2011.01.16. 18:59
경유도 휘발유 처럼 고급유 판매하는데 있는지 모르겠네요..?
암튼 좋은글 감사합니다...
Profile image [전]땡깡쟁이[전주] 2011.01.16. 20:56
주유소문제인가요 그럼 그렇다고 현대 책임도 아닌듯 하고...
[서경]정원이 2011.01.17. 10:50
ㅡㅡ 그러니깐요?

좋은기름이니깐회사꺼 피하라는 말씀이시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네티러브입니다. 스포티지R 페이스리프트 모델 출시에 ... [16] file nattylove 13.07.05. 125786
공지 [제안]스포티지알넷. 좋죠? 그럼 함께 즐겨봐요~!! [54] [47] file nattylove 10.04.30. 188117
공지 [알림] 스포티지알넷의 소개와 운영방침. [47] [169] file nattylove 10.02.17. 249962
14836 온도에 따른 타이어공기압 변화현상? [8] [충]진선아빠 11.01.16. 1825
14835 정품만 판매주유소와 불량주유소 구별하기 회원님들의 노하우를 말씀해주세요~ [17] [전]윤발이[광.. 11.01.16. 1663
14834 [한파] 서울은 10년만에 최저치…거제ㆍ밀양ㆍ창원도 기록적 한파 [7] [충]진선아빠 11.01.16. 1388
14833 딸기맘님!!! 워워워워.. [13] file [충]박카스 11.01.16. 996
» [디젤]한번쯤은 알아야 될 것 같은 내용입니다. [15] [충]진선아빠 11.01.16. 1730
14831 [급] 바카라 광고글 삭제 협조 [8] [충]진선아빠 11.01.16. 997
14830 아아+_+ 구정 지나면 차 나옵니다! [5] [경기오산]회.. 11.01.16. 1102
14829 클린팀 출동하자구요. [3] [서경]Open_mind 11.01.16. 996
14828 요고..요거.. 대에박....ㅋㅋㅋ [6] [서경]Open_mind 11.01.16. 1037
14827 mp3 파일 좀 보내주실분~~~~~~~ [3] [서경]인천칼.. 11.01.16. 1187
14826 살떨리는 우리집 주차장 ㅜㅜ;; [11] file [서경]호동님.. 11.01.16. 1803
14825 2011.01.16 일요일 스포티지알넷 자유게시판 출석부 [11] [서경]Open_mind 11.01.16. 1261
14824 신형 그랜저 단차·색상 불균일,전자 오류까지…새차 맞아? [7] [전북]켄신 11.01.15. 2038
14823 이쁜딸기맘 님...... [8] file [서경]G.I.Jaein 11.01.15. 1037
14822 설문! 순정네비이신 분들만요~^^ [7] [부산]곰돌리 11.01.15. 1494
14821 [기아] K5 - 2.0L TURBO GDI(외수차량) [7] file 초보라고 11.01.15. 1701
14820 mp3파일 하나만 주실수 있으신분..ㅠㅠ [4] [서경]따조 11.01.15. 984
14819 헐 입니다.ㅡㅡ; [4] [충]불멸의 이.. 11.01.15. 1001
14818 [ 축 결 혼 ] [18] file [경상]류과장 11.01.15. 1416
14817 [현대] 그랜져 HG - 외관*내부(사진) [6] file 초보라고 11.01.15. 2445
14816 혹시 컵홀더 다이하신분들 ㅎㅎ [2] [서경]검정.. 11.01.15. 1352
14815 사제 파노라마 선루프 사진입니다. [23] file [충]진선아빠 11.01.15. 6943
14814 오늘 계약했어요 [5] 난폭한호랑이 11.01.15. 985
14813 초초보 LED 장착 후기 [4] [서경]성진이.. 11.01.15. 982
14812 오토 크루즈 컨트롤 장착후 아지생각! [14] file 아지™ 11.01.13. 4895
14811 압구정 현대백화점 옆 공영주차장 요금이 얼만가요. [3] 이얍 11.01.15. 2484
14810 아씨팔로미.... [12] [강원]미남안.. 11.01.15. 1484
14809 [추측] 기름값이 30원가량 내려갑니다. [14] [충]진선아빠 11.01.15. 1003
14808 아.. 아무것도 모르고 DIY하다가 망해버렸어요 ㅠ [19] [서경]Steviez 11.01.15. 1809
14807 ☆☆☆ 2011년 1월 15일 완젼 즐거운 토요일 스알넷 출석부 ☆☆☆ [19] [경상]주환아.. 11.01.15. 997